![[NestJS] JWT Guard 사용 중 에러 (metatype is not a constructor / In order to use "defaultStrategy", please, ensure to import PassportModule in each place where AuthGuard() is being used, Otherwise, passport won't work correctly.)](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zwNbv%2FbtstCV910wQ%2FAAAAAAAAAAAAAAAAAAAAAAbKu8IY7-QAVeYOlriShh69uyj6Grtqi_FPZiPgN9ot%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ONDMCdCGELM2l%252FNJQnWEQwqP8LA%253D)
에러 메세지 JWT Guard설정 후 테스트를 위해 서버를 실행했을 때 발생 원인 그대로 번역하면 메타타입은 생성자가 아니라는 것 같음. metatype is not a constructor에러는 커스텀 가드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 오류중 하나이며 @UseGuards() 데코레이터에 가드 클래스를 전달할 때 메타타입 정보가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고 한다. 즉, 인스턴스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자 함수를 전달해야한다. //before @UseGuards(AuthGuard) //after @UseGuards(AuthGuard()) 문제가 된 부분을 수정해주었음. 새로운 에러 In order to use "defaultStrategy", please, ensure to import..
![[NestJS] NestJS 개발 환경 셋팅](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ncouo%2FbtstljXPDXF%2FAAAAAAAAAAAAAAAAAAAAADKxlchhP_sn_3LofPgAj5JYc_Ubu6HJckJJdH6MwMHW%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ZaOiGrqkZ0wSOGtiMazFve8T9uw%253D)
서론 9개월 정도를 스프링만 사용하던 신입 개발자인 나에게 갑작스레 실무에서 Node.js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닥쳤다. 기존 backend 코드를 보니 모듈을 import하는 것들이 대부분 @nestJS/어쩌고로 되어있는 typescript였다. 실무를 위해 빠른 적응이 필요했다. 나중에 node와 typescript, nest등에 대한 적당히 자세한(?) 공부 및 포스팅을 진행할 것이다. 간단하게 알아본 바로는 다음과 같았다. NestJS는 서버 측 노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Express와 같은 HTTP Server Framework를 내장하고 있고, 대부분 TypeScript로 구성되어 있다고한다. 이미 셋팅되어있는 개발환경을 다시 뜯어보기전에, 어떻게 개발환경을 셋팅하는지 부..

명령어 정리 npx npm 5.2.0버전부터 제공되는 명령어로 npx를 사용하면 install 없이 일회성으로 패키지를 실행하거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1. npm init - package.json 생성 2. npm install / npm i - npm 모듈을 로컬(현재 프로젝트 내부)에 설치 - 옵션으로 --save / -S, --save-dev / -D를 사용 가능 - --save / -S는 dependency에 추가하는 명령어인데 npm 5버전 이후로는 자동으로 dependency에 추가됨 - --save-dev / -D는 devDependencies에 추가.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하는 모듈 3. npm uninstall moduleName - 설치한 모듈 삭제 4. npm dedupe - 중..
![[백준 10845 / Java] 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krS4w%2FbtslKEWysyi%2FAAAAAAAAAAAAAAAAAAAAAGOO6ihnWPAJN8XgCdHu_5oP5RNp1E-jz7fbpAkcOKFr%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6%252BWTGmhUzitcKts10K7oE%252FpJZ4E%253D)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10845번: 큐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풀이 큐 포스팅 링크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