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1. 프로젝트의 구조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입니다 [ 프로젝트의 구조 ] src/main/java 디렉터리 src/main/java 디렉터리의 com.example.board 패키지는 자바 파일을 작성하는 공간이다. 자바 파일로는 스프링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엔티티, 서비스 파일등이 있다. PracticeApplication.java 파일 모든 프로그램에는 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 있다.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에도 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 있는데 그 파일이 바로 + Application.java 파일이다.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자동 생성된다. package com.example.boar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

Iterator

[ Iterator ]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에서 값을 가져오거나 삭제할 때 사용한다 [ 장단점 ] 모든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3개의 메서드만 알면 되어서 쉽게 값을 가져오고 제거할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의 단방향 반복만 가능하다 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량의 데이터를 제어할 때 속도가 느리다 [ 메서드 ] Iterator.hasNext() : 다음 값이 들었는지 확인 후 true / false를 반환한다 Iterator.next() : 다음 값을 가져온다 Iterator.remove() : next시 가져왔던 값을 컬렉션에서 삭제시킨다. 반드시 next()후에 사용해야 한다 [ 사용하기 ] import java.util.Ar..

람다식(Lambda)

[ 람다함수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s)를 지칭하는 용어 익명 함수들은 어느 언어에서나 일급 객체라는 특징을 가짐 일급 객체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 를 가리킨다. 보통 함수에 인자로 넘기기, 수정하기, 변수에 대입하기와 같은 연산을 지원할 때 일급 객체라고 한다. [ 특징 ] 람다 대수는 이름을 가질 필요가 없고 두 개 이상의 입력이 있는 함수는 1개의 입력만 받는 람다 대수로 단순화 될 수 있다 - 커링 람다 실행블록에는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다 람다식 내에서 사용되는 지역변수는 final이 없어도 상수로 간주된다 람다식으로 선언된 변수명은 다른 변수명과 중복될 수 없다 람다 대..

향상된 for문

조건 JDK 1.5 이상 사용 가능 사용할 변수는 지역변수로 인식된다 대상은 배열이거나 여러 원소를 포함한 자료형이어야 한다 → 배열은 향상된 for문을 입력해도 컴파일러가 기존 for문으로 변환시킨다 사용하기 for(자료형 변수명 : 배열명){ 문장 } int[] arr = {1,2,3,4,5,6,7,8,9}; for(int i : arr){ System.out.print(i); } // console // 123456789 // 다차원 배열도 활용가능 int[][] arr = {{1,2},{3,4},{5,6},{7,8}}; for(int[]arr2 : arr) { for(int i : arr2) { System.out.print(i); } } // Console // 12345678 예제 class ..

스택(Stack)

후입선출(LIFO - Last In First Out)의 구조이다 ex) 음료수 진열대 사용하기 import java.util.Stack; Stack stack = new Stack(); // 값 추가하기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 맨 위에 있는 데이터(top)를 가져옴(제거) stack.pop(); // top 반환 stack.peek(); // 초기화 stack.clear(); // 그 외 메서드들 stack.size(); // stack의 크기 출력 stack.empty(); // stack이 비어있는지 stack.contains() // stack에 포함여부 stack.search(1) // 1이 있는 인덱스를 반환 참조 https://c..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Priority Queue 기본 큐의 구조(FIFO : First In First Out)를 가지면서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해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간다 우선순위 힙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사용되는 생성자에 따라 자연 순서에 따라 또는 큐 생성 시 제공되는 Comparator에 따라 순서가 지정된다 데이터를 삽입할 때 우선순위의 최대, 최소를 구성하여 데이터가 빠지면 중간을 계속해서 채워넣는 방식 특징 높은 우선순위의 요소를 먼저 꺼내서 처리하는 구조이다 비교할 수 없는 객체는 큐를 만들 수 없다 (비교 가능한 기준이 있어야한다) 우선순위 큐는 값을 비교해야하므로 null을 허용지 않는다 내부구조는 이진트리 힙으로 구성되어있다 (내부구조가 힙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다) Ab..

객체지향 설계 원칙 - SOLID

[ 객체 지향 설계 원칙 ( SOLID )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SOLID란 로버트 C. 마틴이 2000년대 초반에 명명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마이클 페더스가 두문자어 기억술로 소개한 것이다. 프로그래머가 시간이 지나도 유지 보수와 확장이 쉬운 시스템을 만들고자 할 때 이 원칙들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SOLID 원칙들은 소프트웨어 작업에서 프로그래머가 소스 코드가 읽기 쉽고 확장하기 쉽게 될 때까지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리팩터링하여 코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다. 이 원칙들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응적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 전략의 일부다. SOLID 원칙들은 결국 자기 자신 클래스 안에 응집도는 내부적으로 높이고, 타 클래스들 간..

이차원 배열의 정렬 - Arrays.sort(arr, Comparator) / JAVA

1차원배열의 정렬import java.util.Arrays;// 오름차순Arrays.sort(arr);// 내림차순 기본타입에 선언 불가!! 참조타입에 가능Arrays.sort(arr, Collections.reverseOrder());//참조타입 변환(ex - int[])Integer[] refArr = Arrays.stream(arr).boxed().toArray(Integer[]::new);//변환 후 정렬Arrays.sort(refArr, Collections.reverseOrder());2차원배열의 정렬import java.util.Arrays;import java.util.Comparator;// Comparator는 인터페이스이기때문에 오버라이딩Arrays.sort(arr, new Compa..

Stream(2)

동작 순서 다음 스트림에서는 최종 작업인 findFirst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과연 출력 결과는 어떨까요? list.stream() .filter(el -> { System.out.println("filter() was called."); return el.contains("a"); }) .map(el -> { System.out.println("map() was called."); return el.toUpperCase(); }) .findFirst(); 요소는 3개인데 결과는 다음처럼 filter 두 번, map 이 한 번 출력됩니다. filter() was called. filter() was called. map() was called. 여기서 스트림이 동작하는 순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모든..

1. 프로젝트의 구조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31. 15:38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입니다

 

 

 

 

[  프로젝트의 구조  ]


 

 

 

src/main/java 디렉터리


src/main/java 디렉터리의 com.example.board 패키지는 자바 파일을 작성하는 공간이다. 자바 파일로는 스프링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엔티티, 서비스 파일등이 있다.

 

 

PracticeApplication.java 파일


모든 프로그램에는 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 있다.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에도 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 있는데 그 파일이 바로 <프로젝트명> + Application.java 파일이다.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자동 생성된다.

 

package com.example.boar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Practic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PracticeApplication.class, args);
	}

}

SbbApplication 클래스에는 위와 같이 반드시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이 적용되어 있어야 한다.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을 통해 스프링부트의 모든 설정이 관리된다.

 

 

src/main/resources 디렉터리


자바 파일을 제외한 HTML, CSS, Javascript, 환경파일 등을 작성하는 공간이다.

 

 

templates 디렉터리


resources의 하위 디렉터리인 templates 디렉터리에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한다. 템플릿 파일은 HTML 파일 형태로 자바 객체와 연동되는 파일이다.

 

 

static 디렉터리


프로젝트의 css, js, 이미지파일 등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프로젝트의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설정 등을 저장한다.

 

 

src/test/java 디렉터리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파일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이다. JUnit과 스프링부트의 테스팅 도구를 사용하여 서버를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src/main/java 디렉터리에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할 수 있다.

 

 

build.gradle 파일


그레이들(Gradle)이 사용하는 환경 파일이다. 그레이들은 그루비(Groovy)를 기반으로 한 빌드 도구로 Ant, Maven과 같은 이전 세대 빌드 도구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취합하여 만든 빌드 도구이다. build.gradle 파일에는 프로젝트를 위해 필요한 플러그인과 라이브러리 등을 기술한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Iterator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5. 12:27
728x90
728x90

[  Iterator  ]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에서 값을 가져오거나 삭제할 때 사용한다

 

 

[  장단점  ]


모든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3개의 메서드만 알면 되어서 쉽게 값을 가져오고 제거할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의 단방향 반복만 가능하다

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량의 데이터를 제어할 때 속도가 느리다

 

 

[  메서드  ]


Iterator.hasNext() : 다음 값이 들었는지 확인 후 true / false를 반환한다

 

Iterator.next() : 다음 값을 가져온다

 

Iterator.remove() : next시 가져왔던 값을 컬렉션에서 삭제시킨다. 반드시 next()후에 사용해야 한다

 

 

[  사용하기  ]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IteratorEx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list.add("가렌");
		list.add("갈리오");
		list.add("갱플랭크");
		list.add("그라가스");
		list.add("그레이브즈");
		list.add("그웬");
		list.add("나르");
		list.add("나미");
		list.add("나서스");
		list.add("노틸러스");
		
		Iterator<String> iter1 = list.iterator();
		
		//remove만 달랑 쓰면 IllegalStateException 발생 -> next다음 쓰기
		//iter1.remove();
		
		while(iter1.hasNext()) {
			System.out.println(iter1.next());
		}			
				
		
	}
	
}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람다식(Lambda)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2. 09:43
728x90
728x90

[  람다함수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s)를 지칭하는 용어

익명 함수들은 어느 언어에서나 일급 객체라는 특징을 가짐

 

일급 객체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
를 가리킨다. 보통 함수에 인자로 넘기기, 수정하기, 변수에 대입하기와 같은 연산을 지원할 때 일급 객체라고 한다.

 

 

[  특징  ]


람다 대수는 이름을 가질 필요가 없고

두 개 이상의 입력이 있는 함수는 1개의 입력만 받는 람다 대수로 단순화 될 수 있다 - 커링

 

람다 실행블록에는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다

람다식 내에서 사용되는 지역변수는 final이 없어도 상수로 간주된다

람다식으로 선언된 변수명은 다른 변수명과 중복될 수 없다

 

람다 대수
추상화와 함수 적용 등의 논리 연산을 다루는 형식 체계로 함수를 보다 단순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커링
f(a,b,c) → f(a)(b)(c)
다중 인수를 갖는 함수를 단일 인수를 갖는 함수들의 함수열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단일 호출로 처리하는 함수를 각각의 인수가 호출 가능한 프로세스로 호출된 후 병합되도록 변환하는 것이다

 

 

[  장점  ]


코드의 간결함

가독성의 향상 : 개발자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난다

생산성의 향상 : 함수를 만드는 과정없이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병렬처리에 용이 : 멀티쓰레드 활용

 

 

[  단점  ]


호출의 까다로움

불필요한 람다의 남발 시 가독성이 떨어진다

디버깅이 어렵다

람다 stream 사용 시 단순 for문 혹은 while문 사용 시 성능이 떨어진다

 

 

[  사용하기  ]


매개변수 -> 함수 몸체

int a(int x, int y) {
    return x < y ? x : y;
}

(x, y) -> x < y ? x : y;
//함수 몸체가 단일 실행문이면 중괄호{} 생략 가능
//return문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생략 불가능
(int x) -> x+1
(x) -> x+1
x -> x+1
(int x) -> { return x+1; }
x -> { return x+1; }

//기존 자바 문법
new Thread(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전통적인 방식의 일회용 스레드 생성");
    }
}).start();

 
//람다식 문법
new Thread(()->{
    System.out.println("람다 표현식을 사용한 일회용 스레드 생성");
}).start();

 

 

[  함수형 인터페이스( Functional Interface )  ]


Java는 기본적으로 객체지향 언어이기 때문에 순수 함수와 일반 함수를 다르게 취급하고 있으며 Java에서는 이를 구분하기 위해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함수를 1급 객체처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에 선언하여 단 하나의 추상 메소드만을 갖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Java의 람다식이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반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등장으로 우리는 함수를 변수처럼 선언할 수 있게 되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그 내부에는 1개 뿐인 abstract 함수를 선언하고, 위에는 @FunctionalInterface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된다

 

람다식으로 생성된 순수 함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로만 선언이 가능하다. 또한 @FunctionalInterface는 해당 인터페이스가 1개의 함수만을 갖도록 제한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함수를 선언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LambInter {
	void test(int a);	
}
public class Lambd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ambInter lam = null;
		
		lam = (a) ->{
			int result = a*30;
			System.out.println("람다" + result);
		};		
		lam.test(30);
	}
}

//Console
//람다900

 

[  JAVA에서 제공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  ]


자바8부터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는 java.util.function 표준 API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함수적 인터페이스의 목적은 메소드 또는 생성자의 매개 타입으로 사용되어 람다식을 대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 Consumer
  • Supplier
  • Function
  • Operator
  • Predicate

 

1. Consumer

파라미터만 있고 리턴값이 없는 추상 메서드를 가진다

추상메서드 accept를 호출하여 사용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 설명
Consumer<T> void accept(T t) 객체 T를 받아 소비
BiConsumer<T, U> void accept(T t, U u) 객체 T와 U를 받아 소비
DoubleConsumer void accept(double value) double 값을 받아 소비
IntConsumer void accept(int value) int 값을 받아 소비
LongConsumer void accept(long value) long 값을 받아 소비
ObjDoubleConsumer<T> void accept(T t, double value) 객체 T와 double 값을 받아 소비
ObjIntConsumer<T> void accept(T t, int value) 객체 T와 int 값을 받아 소비
ObjLongConsumer<T> void accept(T t, long value) 객체 T와 long 값을 받아 소비

 

import java.util.function.Consumer;
import java.util.function.BiConsumer;
import java.util.function.DoubleConsumer;
import java.util.function.ObjIntConsumer;

public class Lambd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umer<String> consumer = (t) ->{
			System.out.println("디파일러 컨슘" + t);
		};		
		consumer.accept("ㅇㅇㅇㅇ");;		
		
		BiConsumer<String, String> bi = (a,b) -> {
			System.out.println("ㅋㅋㅋㅋ" + a + "ㅋㅋㅋㅋ" + b);
		};
		bi.accept("어제 길을 가는데", "누가 넘어짐");		
		
		DoubleConsumer dc = (dd) ->{
			System.out.println("내가 지금 사용하는 자바 버전은? " + dd);
		};
		dc.accept(1.8);
        
        	ObjIntConsumer<String> obc = (i, j) ->{
			System.out.println(i + j);
		};
		obc.accept("자바", 8);
	}
}
//Console
디파일러 컨슘 지이이잉
ㅋㅋㅋㅋ 어제 길을 가는데 ㅋㅋㅋㅋ 누가 넘어짐
내가 지금 사용하는 자바 버전은? 1.8
자바8

 

 

2. Supplier

파라미터는 없고 리턴값만 있다

get....() 메서드를 호출하여 실행한 후 호출한 곳으로 데이터를 리턴한다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  설명
Supplier<T> T get() T 객체를 리턴
BooleanSupplier Boolean getAsBoolean() Boolean 값을 리턴
DoubleSupplier double getAsDouble() double 값을 리턴
IntSupplier int getAsInt() int 값을 리턴
LongSupplier long getAsLong() long 값을 리턴

 

import java.util.function.Supplier;
import java.util.function.IntSupplier;

public class Lambd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pplier<String> supplier = () ->{
			String study = " 나는 오늘도 열심히 자바 공부를 한다";
			return study;
		};
		System.out.println(supplier.get());
				
		IntSupplier lotto = () ->{
			int num = (int)(Math.random()*45)+1;
			return num;		
		};
        
	}
       
}
//Console
나는 오늘도 열심히 자바 공부를 한다
로또 가즈아 : 9

 

 

 

3. Function

매개값과 리턴값이 있는 apply....()메서드를 사용

매개값을 리턴으로 매핑한다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 설명
Function<T, R> R apply(T t) 객체 T를 객체 R로 매핑
BiFunction<T, U, R> R apply(T t, U u) 객체 T와 U를 객체 R로 매핑
DoubleFunction<R> R apply(double value) double을 객체 R로 매핑
IntFunction<R> R apply(int value) int을 객체 R로 매핑
IntToDoubleFunction double applyAsDouble(int value) int를 double로 매핑
IntToLongFunction long applyAsLong(int value) int를 long으로 매핑
LongToDoubleFunction double applyAsDouble(long value) long을 double로 매핑
LongToIntFunction int applyAsInt(long value) long을 int로 매핑
ToDoubleBiFunction<T, U> double applyAsDouble(T t, U u) 객체 T와 U를 double로 매핑
ToDoubleFunction<T> double applyAsDouble(T value) 객체 T를 double로 매핑
ToIntBiFunction<T, U> int applyAsInt(T t, U u) 객체 T와 U를 int로 매핑
ToIntFunction<T> int applyAsInt(T t) 객체 T를 int로 매핑
ToLongBiFunction<T, U> long applyAsLong(T t, U u) 객체 T와 U를 long으로 매핑
ToLongFunction<T> long applyAsLong(T t) 객체 T를 long으로 매핑

 

Function<Student, String> function = t -> {
	return t.getName();
};


Function<Student, String> function = t -> t.getName();

 

 

 

4. Operator

파라미터, 리턴값이 모두 있는 추상 메서드 apply....()를 가지고 있다

파라미터 값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리턴 시 사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  설명
BinaryOperator<T> BiFunction<T,U,R>의 하위 인터페이스 T와 U를 연산 후 R 리턴
UnaryOperator<T> Function<T, R>의 하위 인터페이스 T를 연산한 후 R 리턴
DoubleBinaryOperator double applyAsDouble(double, double) 두 개의 double을 연산
DoubleUnaryOperator double applyAsDouble(double) 한 개의 double을 연산
IntBinaryOperator int applyAsInt(int, int) 두 개의 int를 연산
IntUnaryOperator int applyAsInt(int) 한 개의 int를 연산
LongBinaryOperator long applyAsLong(long, long) 두 개의 long을 연산
LongUnarayOperator long applyAsLong(long) 한 개의 long을 연산

 

import java.util.function.BinaryOperator;

public class Lambda {
	
	static int[] arr = {13, 15, 100, 1, 37, 76};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BinaryOperator operMin = (a, b) ->{
                return Math.min(a, b);
		};
		int min = maxOrMin(operMin);
		
		IntBinaryOperator operMax = (a, b) ->{
			return Math.max(a, b);
		};        
		int max = maxOrMin(operMax);
		
		System.out.printf("최소값 : %d, 최대값 : %d", min, max);		
		
	}
	
	public static int maxOrMin(IntBinaryOperator oper){
		int result = arr[0];
		for(int num : arr) {
			result = oper.applyAsInt(result, num);
		}
		return result;
	}
    
}
//Console
최소값 : 1, 최소값 : 100

 

 

5.Predicate

파라미터를 조사하여 truse / false값을 리턴하는 test....()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 설명
Predicate<T> Boolean test(T t) 객체 T를 조사
BiPredicate<T, U> Boolean test(T t, U u) 객체 T와 U를 비교 조사
DoublePredicate Boolean test(double value) double 값을 조사
IntPredicate Boolean test(int value) int 값을 조사
LongPredicate Boolean test(long value) long 값을 조사

 

더보기
package java1222;

public class Ourclass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gender;
	private int score;
	
	public Ourclass(String name, String gender, int score)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this.score = scor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Gender() {
		return gender;
	}

	public void setGender(String gender) {
		this.gender = gender;
	}

	public int getScore() {
		return score;
	}

	public void setScore(int score) {
		this.score = score;
	}
	
	
	
	
	
}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function.Predicate;

public class PredicateExam {
	
	public static ArrayList<Ourclass> arrayList = new Array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add(new Ourclass("김범수", "남자", 30));
		arrayList.add(new Ourclass("나얼", "남자", 50));
		arrayList.add(new Ourclass("박효신", "남자", 60));
		arrayList.add(new Ourclass("이수", "남자", 55));
		arrayList.add(new Ourclass("아이유", "여자", 42));
		arrayList.add(new Ourclass("김연우", "남자", 30));
		arrayList.add(new Ourclass("박화요비", "여자", 25));
		arrayList.add(new Ourclass("이선희", "여자", 20));
		arrayList.add(new Ourclass("이승기", "남자", 95));
		arrayList.add(new Ourclass("허각", "남자", 80));
		
		
		Predicate<Ourclass> female = t ->{
			System.out.print(t.getName());
			System.out.println(t.getScore());
			return t.getGender().equals("여자");
		};
		
		Predicate<Ourclass> male = t ->{
			System.out.print(t.getName());
			System.out.println(t.getScore());
			return t.getGender().equals("남자");
		};
		
		double fe = avg(female);
		System.out.println("여성 평균 : " + fe);
		
		double ma = avg(male);
		System.out.println("남성 평균 : " + ma);
		
		
	}
	
	public static double avg(Predicate<Ourclass> score){
		int count = 0;
		int sum = 0;
		
		for(Ourclass clsMate : arrayList) {
			if(score.test(clsMate)) {
				count++;
				sum += clsMate.getScore();
			}
		}
		return (double)sum/count;		
	}

}
//Console
여성 평균 : 29.0
남성 평균 : 57.142857142857146

 

 

 

참조

https://palpit.tistory.com/673
https://mangkyu.tistory.com/113
https://khj93.tistory.com/entry/JAVA-%EB%9E%8C%EB%8B%A4%EC%8B%9DRambda%EB%9E%80-%EB%AC%B4%EC%97%87%EC%9D%B4%EA%B3%A0-%EC%82%AC%EC%9A%A9%EB%B2%95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향상된 for문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1. 23:07
728x90
728x90

조건


  • JDK 1.5 이상 사용 가능
  • 사용할 변수는 지역변수로 인식된다
  • 대상은 배열이거나 여러 원소를 포함한 자료형이어야 한다
    → 배열은 향상된 for문을 입력해도 컴파일러가 기존 for문으로 변환시킨다

 

 

사용하기


for(자료형 변수명 : 배열명){
	문장
}

int[] arr = {1,2,3,4,5,6,7,8,9};

for(int i : arr){
	System.out.print(i);
}

// console
// 123456789

// 다차원 배열도 활용가능

int[][] arr = {{1,2},{3,4},{5,6},{7,8}};

for(int[]arr2 : arr) {
	for(int i : arr2) {
		System.out.print(i);
	}
}

// Console
// 12345678

 

 

예제


class Solution{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String[] arr = s.toLowerCase().split("");
            boolean bl = true;

            for(String str : arr){
                answer += bl ? str.toUpperCase() : str;
                bl = str.equals(" ") ? true : false;
            }
            return answer;
    }
}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스택(Stack)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1. 09:33
728x90
728x90

후입선출(LIFO - Last In First Out)의 구조이다

  • ex) 음료수 진열대

동작원리 (출처 :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1)

 

 

 

사용하기


import java.util.Stack;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 값 추가하기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출처 :&nbsp;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1

 


 

// 맨 위에 있는 데이터(top)를 가져옴(제거)
stack.pop();

// top 반환
stack.peek();

// 초기화
stack.clear();

 

출처 :&nbsp;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1

 


 

// 그 외 메서드들

stack.size();      // stack의 크기 출력
stack.empty();     // stack이 비어있는지
stack.contains()   // stack에 포함여부
stack.search(1)    // 1이 있는 인덱스를 반환

 


 

 

참조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1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0. 23:28
728x90
728x90

Priority Queue


  • 기본 큐의 구조(FIFO : First In First Out)를 가지면서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해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간다
  • 우선순위 힙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 사용되는 생성자에 따라 자연 순서에 따라 또는 큐 생성 시 제공되는 Comparator에 따라 순서가 지정된다
  • 데이터를 삽입할 때 우선순위의 최대, 최소를 구성하여 데이터가 빠지면 중간을 계속해서 채워넣는 방식

 

 

특징


  • 높은 우선순위의 요소를 먼저 꺼내서 처리하는 구조이다
  • 비교할 수 없는 객체는 큐를 만들 수 없다 (비교 가능한 기준이 있어야한다)
  • 우선순위 큐는 값을 비교해야하므로 null을 허용지 않는다
  • 내부구조는 이진트리 힙으로 구성되어있다 (내부구조가 힙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다)
  • AbstractQueue , AbstractCollection , Collection 및 Object클래스에서 메서드를 상속한다

 

 

선언하기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낮은 숫자가 우선 순위인 int형 큐 선언
PriorityQueue<Integer> queue = new PriorityQueue<>();

//높은 숫자가 우선 순위인 int형 큐 선언
PriorityQueue<Integer> queue2 = new PriorityQueue<>(Collections.reverseOrder());

 

같은 기능의 메서드지만 예외를 던지거나, null또는 false가 반환될 수도 있다

 

  예외 발생 값 리턴
추가(enqueue) add(e) offer(e)
삭제(dequeue) remove() poll()
검사(peek) element() peek()

.

 

추가하기


// 큐에 여유 공간이 없어 삽입에 실패하면 IllegalStateException을 발생

//add, offer로 삽입
queue.add(1);
queue.add(2);
queue.offer(3);

queue2.add(1);
queue2.add(2);
queue2.offer(3);

Queue에 데이터를 추가 했을 때, 아래 그림과 같은 과정을 통해 즉시 정렬된다

 

출처 :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3

 

 

삭제하기


// 첫번째 값을 반환하고 제거한다
// 비어있다면 null을 반환
queue.poll();

// 첫번째 값을 제거한다
// 비어있다면 예외 발생
queue.remove(); 

// 첫번째 값을 반환만 하고 제거 하지는 않는다.
// 큐가 비어있다면 null을 반환
queue.peek();

// 첫번째 값을 반환만 하고 제거 하지는 않는다.
// 큐가 비어있다면 예외 발생
queue.element();

// 초기화시킨다
queue.clear();

 

값을 제거할 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값이 제거된다
poll() 함수는 우선순위 큐가 비어있으면 null을 반환한다 
pop을 하면 가장 앞쪽에 있는 원소의 값이 아래 그림과 같이 제거된다
queue의 모든 요소를 제거하려면 clear() 메서드를 사용한다

 

출처 :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3


참조

https://coding-factory.tistory.com/603

https://velog.io/@gillog/Java-Priority-Queue%EC%9A%B0%EC%84%A0-%EC%88%9C%EC%9C%84-%ED%81%90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객체지향 설계 원칙 - SOLID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20. 19:26
728x90
728x90

[  객체 지향 설계 원칙 ( SOLID )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SOLID란 로버트 C. 마틴이 2000년대 초반에 명명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마이클 페더스가 두문자어 기억술로 소개한 것이다.

프로그래머가 시간이 지나도 유지 보수와 확장이 쉬운 시스템을 만들고자 할 때 이 원칙들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SOLID 원칙들은 소프트웨어 작업에서 프로그래머가 소스 코드가 읽기 쉽고 확장하기 쉽게 될 때까지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리팩터링하여 코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다.

이 원칙들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응적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 전략의 일부다.

 

SOLID 원칙들은 결국 자기 자신 클래스 안에 응집도는 내부적으로 높이고, 타 클래스들 간 결합도는 낮추는 High Cohesion - Loose Coupling 원칙을 객체 지향의 관점에서 도입한 것이다.

왜 그랬을까? 간단하다. 좋은 소프트웨어는 응집도가 높고 결합도가 낮기 때문이다.

결국 모듈 또는 클래스 당 하나의 책임을 주어 더욱더 독립된 모듈(클래스)을 만들기 위함이다.

이렇게 설계된 소프트웨어는 재 사용이 많아지고, 수정이 최소화 되기 때문에 결국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객체 지향 설계의 5대 원칙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의 원칙
  • OCP(Open Closed Principle) : 개방 폐쇄의 원칙
  •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 역전 원칙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의 원칙  ]


어떤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 한다 - 로버트 C. 마틴

 

클래스에 역할과 책임을 너무 많이 부여하지 마라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클래스를 설계할 때 경계를 확실히 정하고 추상화를 통해 경계 안에서 필요한 속성과 메서드를 선택하여 설계해야 한다

 

 

[  OCP(Open Closed Principle) : 개방 폐쇄의 원칙  ]


소프트웨어 엔티티(클래스, 모듈, 함수 등)는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 대해서는 닫혀 있어야 한다

- 로버트 C. 마틴

 

자신의 확장에는 열려있고 주변의 변화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    


서브타입은 언제나 자신의 기반타입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 로버트 C. 마틴

 

 

하위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상위 객체 참조 변수에 대입해 상위 클래스 인스턴스 역할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올바른 상속관계 설정)
객체 지향은 인간이 실세계를 보면서 느끼고 논리적으로 이해한 것과 똑같이 프로그래밍 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맞아 떨어져야 하는것이 기본이다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에 의존 관계를 맺으면 안된다 - 로버트 C. 마틴

 

상황과 관련 있는 메서드만 제공 할 것

 

 

DIP(Dep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 역전 원칙


고차원 모듈은 저차원 모듈에 의존하면 안된다. 이 두 모듈 모두 다른 추상화 된 것에 의존해야 한다

추상화 된 것은 구체적인 것에 의존하면 안된다. 구체적인 것이 추상화 된 것에 의존해야 한다

자주 변경되는 구체 클래스에 의존하지 마라 - 로버트 C. 마틴

 

자주 변경되는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추상 클래스나 상위 클래스는 하위 클래스에게 의존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SOLID_(%EA%B0%9D%EC%B2%B4_%EC%A7%80%ED%96%A5_%EC%84%A4%EA%B3%84) 

https://limkydev.tistory.com/77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이차원 배열의 정렬 - Arrays.sort(arr, Comparator) / JAVA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19. 23:13
728x90
728x90

1차원배열의 정렬

import java.util.Arrays;

// 오름차순
Arrays.sort(arr);

// 내림차순 기본타입에 선언 불가!! 참조타입에 가능
Arrays.sort(arr, Collections.reverseOrder());

//참조타입 변환(ex - int[])
Integer[] refArr = Arrays.stream(arr).boxed().toArray(Integer[]::new);
//변환 후 정렬
Arrays.sort(refArr, Collections.reverseOrder());

2차원배열의 정렬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 Comparator는 인터페이스이기때문에 오버라이딩
Arrays.sort(arr, new Comparator<in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 o1, int[] o2) {
        return o1[0]-o2[0]; // 첫번째 숫자 기준 오름차순 {1,30}{2,10}{3,50}{4,20}{5,40}
        return o2[0]-o1[0]; // 첫번째 숫자 기준 내림차순 {5,40}{4,20}{3,50}{2,10}{1,30}
        return o1[1]-o2[1]; // 두번째 숫자 기준 오름차순 {2,10}{4,20}{1,30}{5,40}{3,50}
        return o2[1]-o1[1]; // 두번째 숫자 기준 내림차순 {3,50}{5,40}{1,30}{4,20}{2,10}
    }


});

 

// 람다식 활용
Arrays.sort(arr, (o1, o2) -> o1[1] - o2[1]);

 

//String 배열 정렬
Arrays.sort(arr, (o1, o2) -> o1[1].compareTo(o2[1]));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Stream(2)

Tech/Java,Kotlin,Spring 2022. 12. 17. 19:46
728x90
728x90

동작 순서

다음 스트림에서는 최종 작업인 findFirst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과연 출력 결과는 어떨까요?

list.stream()
  .filter(el -> {
    System.out.println("filter() was called.");
    return el.contains("a");
  })
  .map(el -> {
    System.out.println("map() was called.");
    return el.toUpperCase();
  })
  .findFirst();

요소는 3개인데 결과는 다음처럼 filter 두 번, map 이 한 번 출력됩니다.

filter() was called.
filter() was called.
map() was called.

여기서 스트림이 동작하는 순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모든 요소가 첫 번째 중간 연산을 수행하고 남은 결과가 다음 연산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한 요소가 모든 파이프라인을 거쳐서 결과를 만들어내고, 다음 요소로 넘어가는 순입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 처음 요소인 “Eric” 은 “a” 문자열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 요소로 넘어갑니다. 이 때 “filter() was called.” 가 한 번 출력됩니다.
  • 다음 요소인 “Elena” 에서 "filter() was called."가 한 번 더 출력됩니다. "Elena"는 "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 연산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다음 연산인 map 에서 toUpperCase 메소드가 호출됩니다. 이 때 "map() was called"가 출력됩니다.
  • 마지막 연산인 findFirst 는 첫 번째 요소만을 반환하는 연산입니다. 따라서 최종 결과는 “ELENA” 이고 다음 연산은 수행할 필요가 없어 종료됩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수행됩니다.

성능 향상

위에서 살펴봤듯이 스트림은 한 요소씩 수직적으로(vertically) 실행됩니다. 여기에 스트림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힌트가 숨어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살펴보시죠.

list.stream()
  .map(el -> {
    wasCalled();
    return el.substring(0, 3);
  })
  .skip(2)
  .collect(Collectors.toList());

System.out.println(counter); // 3

첫 번째 요소 "Eric"은 먼저 문자열을 잘라내고, 다음 skip 메소드 때문에 스킵됩니다. 다음 요소인 "Elena"도 마찬가지로 문자열을 잘라낸 후 스킵됩니다. 마지막 요소인 “Java” 만 문자열을 잘라내어 “Jav” 가 된 후 스킵되지 않고 결과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map 메소드는 총 3번 호출됩니다.

 

여기서 메소드 순서를 바꾸면 어떨까요? skip 메소드가 먼저 실행되도록 해봅시다.

List<String> collect = list.stream()
  .skip(2)
  .map(el -> {
    wasCalled();
    return el.substring(0, 3);
  })
  .collect(Collectors.toList());

System.out.println(counter); // 1

그 결과 스킵을 먼저 하기 때문에 map 메소드는 한 번 밖에 호출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요소의 범위를 줄이는 작업을 먼저 실행하는 것이 불필요한 연산을 막을 수 있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메소드로는 skip, filter, distinct 등이 있습니다.

스트림 재사용

종료 작업을 하지 않는 한 하나의 인스턴스로서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종료 작업을 하는 순간 스트림이 닫히기 때문에 재사용은 할 수 없습니다. 스트림은 저장된 데이터를 꺼내서 처리하는 용도이지 데이터를 저장하려는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Stream<String> stream = 
  Stream.of("Eric", "Elena", "Java")
  .filter(name -> name.contains("a"));

Optional<String> firstElement = stream.findFirst();
Optional<String> anyElement = stream.findAny(); // IllegalStateException: stream has already been operated upon or closed

위 예제에서 findFirst 메소드를 실행하면서 스트림이 닫히기 때문에 findAny 하는 순간 런타임 예외(runtime 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컴파일러가 캐치할 수 없기 때문에 Stream 이 닫힌 후에 사용되지 않는지 주의해야 합니다.

 

위 코드는 아래 코드처럼 바꿀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List 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스트림을 생성해 사용합니다.

List<String> names = 
  Stream.of("Eric", "Elena", "Java")
  .filter(name -> name.contains("a"))
  .collect(Collectors.toList());

Optional<String> firstElement = names.stream().findFirst();
Optional<String> anyElement = names.stream().findAny();

지연 처리 Lazy Invocation

스트림에서 최종 결과는 최종 작업이 이루어질 때 계산됩니다. 호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예제입니다.

private long counter;
private void wasCalled() {
  counter++;
}

다음 예제에서 리스트의 요소가 3개이기 때문에 총 세 번 호출되어 결과가 3이 출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출력값은 0입니다.

List<String> list = Arrays.asList("Eric", "Elena", "Java");
counter = 0;
Stream<String> stream = list.stream()
  .filter(el -> {
    wasCalled();
    return el.contains("a");
  });
System.out.println(counter); // 0 ??

왜냐하면 최종 작업이 실행되지 않아서 실제로 스트림의 연산이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음 예제처럼 최종 작업인 collect 메소드를 호출한 결과 3이 출력됩니다.

list.stream().filter(el -> {
  wasCalled();
  return el.contains("a");
}).collect(Collectors.toList());
System.out.println(counter); // 3

Null-safe 스트림 생성하기

NullPointerException 은 개발 시 흔히 발생하는 예외입니다. Optional 을 이용해서 null에 안전한(Null-safe) 스트림을 생성해보겠습니다.

public <T> Stream<T> collectionToStream(Collection<T> collection) {
    return Optional
      .ofNullable(collection)
      .map(Collection::stream)
      .orElseGet(Stream::empty);
  }

위 코드는 인자로 받은 컬렉션 객체를 이용해 옵셔널 객체를 만들고 스트림을 생성후 리턴하는 메소드입니다. 그리고 만약 컬렉션이 비어있는 경우라면 빈 스트림을 리턴하도록 합니다.

 

제네릭을 이용해 어떤 타입이든 받을 수 있습니다.

List<Integer> intList = Arrays.asList(1, 2, 3);
List<String> strList = Arrays.asList("a", "b", "c");

Stream<Integer> intStream = 
  collectionToStream(intList); // [1, 2, 3]
Stream<String> strStream = 
  collectionToStream(strList); // [a, b, c]

이제 null 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리스트에 null 이 있다면 NPE 가 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외부에서 인자로 받은 리스트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상황입니다.

List<String> nullList = null;

nullList.stream()
  .filter(str -> str.contains("a"))
  .map(String::length)
  .forEach(System.out::println); // NPE!

하지만 우리가 만든 메소드를 이용하면 NPE 가 발생하는 대신 빈 스트림으로 작업을 마칠 수 있습니다.

collectionToStream(nullList)
  .filter(str -> str.contains("a"))
  .map(String::length)
  .forEach(System.out::println); // []

줄여쓰기 Simplified

스트림 사용 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같은 내용을 좀 더 간결하게 줄여쓸 수 있습니다. IntelliJ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줄여쓸 것을 제안해줍니다. 그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만 추렸습니다.

collection.stream().forEach() 
  → collection.forEach()
  
collection.stream().toArray() 
  → collection.toArray()

Arrays.asList().stream() 
  → Arrays.stream() or Stream.of()

Collections.emptyList().stream() 
  → Stream.empty()

stream.filter().findFirst().isPresent() 
  → stream.anyMatch()

stream.collect(counting()) 
  → stream.count()

stream.collect(maxBy()) 
  → stream.max()

stream.collect(mapping()) 
  → stream.map().collect()

stream.collect(reducing()) 
  → stream.reduce()

stream.collect(summingInt()) 
  → stream.mapToInt().sum()

stream.map(x -> {...; return x;}) 
  → stream.peek(x -> ...)

!stream.anyMatch() 
  → stream.noneMatch()

!stream.anyMatch(x -> !(...)) 
  → stream.allMatch()

stream.map().anyMatch(Boolean::booleanValue) 
  → stream.anyMatch()

IntStream.range(expr1, expr2).mapToObj(x -> array[x]) 
  → Arrays.stream(array, expr1, expr2)

Collection.nCopies(count, ...) 
  → Stream.generate().limit(count)

stream.sorted(comparator).findFirst() 
  → Stream.min(comparator)

하지만 주의점이 있습니다. 특정 케이스에서 조금 다르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의 경우 stream 을 생략할 수 있지만,

collection.stream().forEach() 
  → collection.forEach()

다음 경우에서는 동기화(synchronized)는 차이가 있습니다.

// not synchronized
Collections.synchronizedList(...).stream().forEach()
  
// synchronized
Collections.synchronizedList(...).forEach()

다른 예제는 다음과 같이 collect 를 생략하고 바로 max 메소드를 호출하는 경우입니다.

stream.collect(maxBy()) 
  → stream.max()

하지만 스트림이 비어서 값을 계산할 수 없을 때의 동작은 다릅니다. 전자는 Optional 객체를 리턴하지만, 후자는 NullPointerExcpetion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collect(Collectors.maxBy()) // Optional
Stream.max() // NPE 발생 가능

 

 

출처

https://futurecreator.github.io/2018/08/26/java-8-streams-advanced/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방명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