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Spring] 스프링이란? 스프링의 특징(제어의 역전(IoC), 의존성 주입(DI),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 POJO)

스프링 JAVA의 웹 프레임워크이다.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ㅐ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틀이다. Java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JSP, MyBatis, JPA등의 기술이 생겨났다. Spring은 앞서 말한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프레임워크(FrameWork)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이며, 개발에 있어 하나의 뼈대 역할을 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필수적인 코드, 알고리즘, DB 커넥션 등의 기능들을 위해 뼈대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이다. 라이브러리(Library) 라이브러리는 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known return value type: java.lang.Boolean

Spring 회원 가입 구현 도중 중복 체크 버튼을 눌렸을 때 ajax로 호출한 URL에서 boolean 타입으로 return을 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 같다. JSP $('#btn').on('click',function(){ let email = $('input[name=email]').val(); //이메일 올바르게 쓰지 않았을 때 바로 리턴 if(!email.includes('@')) return $('#idcheck').text('올바른 이메일을 입력 해 주세요'); //ajax로 email보내기 -> dao로 보낼 예정 $.ajax({ url : 'emailCheck', data : {'email' : email}, // 입력한 email data dataType : 'text', // ..

18. 게시물에 답변 개수 표시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 입니다. 답변 개수 표시하기 question_list.html 템플릿에 코드를 추가하자. (... 생략 ...) (... 생략 ...) th:if="${#lists.size(question.answerList) > 0}"로 답변이 있는지 조사하고 th:text="${#lists.size(question.answerList)}"로 답변 개수를 표시했다. #list.size(이터러블객체)는 이터러블 객체의 사이즈를 반환하는 타임리프의 유틸리티이다.

14. 공통 템플릿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 입니다. 오류 메시지 공통 템플릿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공통 템플릿을 작성하자 파일 경로 : /practice/src/main/resources/templates/form_errors.html 출력할 오류 메세지 부분에 th:fragment="formErrorsFragment" 속성을 추가했다 필요한 템플릿에 적용하기 question_form.html 질문등록 제목 내용 타임리프의 th:replace 속성을 사용하면 공통 템플릿을 템플릿 내에 삽입할수 있다. div 엘리먼트를 form_errors.html 파일의 th:fragment 속성명이 formErrorsFragmen..

8. 질문 상세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질문 상세 링크 추가하기 question_list.html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자 제목 작성일시 타임리프에서 링크의 주소는 th:href속성을 사용한다. URL 주소를 나타낼 때 반드시 @{URL}형식을 지켜야 한다. 문자열과 자바 객체의 값을 더할 때는 반드시 | | 기호로 좌우를 감싸주어야 한다. 타임리프는 문자열을 연결할 때 | 문자를 사용한다 질문 상세 구현하기 Question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QuestionService를 수정하자 (... 생략 ...)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com.example.board.Data..

7. 서비스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 여태까지 QuestionController에서 QuestionRepository를 직접 사용하여 질문 목록 데이터를 조회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규모있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는 컨트롤러에서 리포지터리를 직접 호출하지 않는다. 중간에 서비스(Service)를 두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서비스는 스프링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작성하는 클래스이다. 서비스는 왜 필요할까? 모듈화 예를들어 어떤 컨트롤러가 여러개의 리포지터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한후 가공하여 리턴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기능을 서비스로 만들어 두면 컨트롤러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호출하여 사..

6. 질문 목록과 템플릿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데이터 조회하여 템플릿에 전달하기 질문 목록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Question 리포지터리를 사용해야 한다. Question 리포지터리로 조회한 질문 목록은 Model 클래스를 사용하여 템플릿에 전달할수 있다. package com.example.board.Ques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5. 리포지터리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 리포지터리 ] 엔티티만으로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 할 수 없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JPA 리포지터리가 필요하다. 리포지터리란? 엔티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접근하는 메서드들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테이블에 어떤 값을 넣거나 값을 조회하는 등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가 필요하다. 이 때 이러한 CRUD를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하는 계층이 바로 리포지터리이다. package com.example.board.Question; import..

[Spring] 스프링이란? 스프링의 특징(제어의 역전(IoC), 의존성 주입(DI),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 POJO)

Tech/Java & Spring 2023. 3. 24. 07:12
728x90
728x90

스프링


JAVA의 웹 프레임워크이다.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ㅐ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틀이다.

Java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JSP, MyBatis, JPA등의 기술이 생겨났다.

Spring은 앞서 말한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프레임워크(FrameWork)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이며, 개발에 있어 하나의 뼈대 역할을 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필수적인 코드, 알고리즘, DB 커넥션 등의 기능들을 위해 뼈대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이다.

 

라이브러리(Library)


라이브러리는 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비휘발성 자원의 모임이다. 여기에는 구성 데이터, 문서, 도움말, 메시지 틀, 미리 작성된 코드, 함수, 클래스, 값, 자료형 사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발에 필요한 것들을 미리 구현해 놓고 필요한 곳에서 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집합이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가장 큰 차이점은 제어 흐름이다.

프레임워크는 제어의 역전(IoC : Inversion of Control)이 적용된다. 프레임워크에게 제어의 흐름을 넘겨 개발자가 작성하는 코드에서 신경 써야 할 부분을 줄일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전체적인 흐름을 쥐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프레임워크에 의해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프레임워크가 짜놓은 틀 안에서 수동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어의 흐름은 프레임워크에 있다.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전체적인 흐름을 만들며 라이브러리를 직접 가져다 쓴다.

라이브러리는 개발자에게 전적으로 제어 흐름이 있어 필요할 때마다 능동적으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제어의 역전(IoC : Inversion of Control)


개발자가 작성한 객체나 메서드의 생명주기의 제어를 개발자가 아니라 외부에 위임하는 설계원칙

 

객체의 생성, 설정, 초기화, 메서드 호출 및 소멸 등의 객체의 생명주기를 프로그래머가 아닌 프레임워크에게 위임할 수 있다. 즉 외부 라이브러리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호출하고, 흐름을 제어한다.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


IoC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간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어 유연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패턴이다.

 

프로그램에서 구성 요소의 의존 관계가 소스코드 내부가 아닌 외부의 설정 파일을 통해 정의되는 방식이다.

코드 간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소스코드를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며 모듈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스프링의 특징


1. IoC(Inversion of Control)

2. DI(Dependency Injection)

 

3. POJO(plain Old Java Object) : Getter, Setter로 구성된 가장 순수한 형태의 기본 클래스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일반적인 자바 코드를 이용하여 개발이 가능하다.

 

4.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 반복적인 코드를 줄이고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POJO, AOP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여 따로 포스팅하여 다루도록 하겠다. 포스팅이 완료되면 링크 남겨둘 예정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MySQL, Mybatis) Unknown column 'text' in 'where clause'

Tech/트러블슈팅 2023. 2. 15. 20:12
728x90
728x90

 

 

에러 원인

 

Mybatis 사용 시 Where절에 있는 ${id}가 문자가 아닌 컬럼으로 인식되어 에러가 발생했다.

 

${id}를 "${id}"로 바꿔주었더니 해결되었다.

 

 

별 것 아닌 실수를 줄이는 연습을 많이 해야할 것 같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known return value type: java.lang.Boolean

Tech/트러블슈팅 2023. 2. 2. 12:00
728x90
728x90

 

Spring 회원 가입 구현 도중

중복 체크 버튼을 눌렸을 때 ajax로 호출한 URL에서 boolean 타입으로 return을 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 같다.

 

 

JSP

$('#btn').on('click',function(){
    let email = $('input[name=email]').val();
    //이메일 올바르게 쓰지 않았을 때 바로 리턴
    if(!email.includes('@')) return $('#idcheck').text('올바른 이메일을 입력 해 주세요');
    //ajax로 email보내기 -> dao로 보낼 예정
    $.ajax({
        url : 'emailCheck', 
        data : {'email' : email}, // 입력한 email data
        dataType : 'text',        // 중복 결과값 text
        success : function(result){
            //result가 text 형태로 와서 false가 text 형태로 비교
            if(result == 'false'){      //false = 사용가능
                $('#idcheck').text('사용 가능한 이메일입니다');
            }else{
                $('#idcheck').text('이미 사용중인 이메일입니다');
            }
        },
        error : function(){
            alert('에러발생 에러발생 ㅌㅌ');
        }
    });
});

 

해결


아래 코드의 주석에 해결 방법을 달아놓았다.

@ResponseBody 에너테이션 주입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18. 게시물에 답변 개수 표시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3. 1. 1. 11:53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 입니다.

 

 

 

 

 

답변 개수 표시하기


 

question_list.html 템플릿에 코드를 추가하자.

(... 생략 ...)
        <tbody>
            <tr th:each="question, loop : ${paging}">
                <td th:text="${paging.getTotalElements - (paging.number * paging.size) - loop.index}"></td>
                <td>
                    <a th:href="@{|/question/detail/${question.id}|}" th:text="${question.subject}"></a>
                    <span class="text-danger small ms-2"
                        th:if="${#lists.size(question.answerList) > 0}" 
                        th:text="${#lists.size(question.answerList)}">
                    </span>
                </td>
                <td th:text="${#temporals.format(question.createDate, 'yyyy-MM-dd HH:mm')}"></d>
            </tr>
        </tbody>
(... 생략 ...)

th:if="${#lists.size(question.answerList) > 0}"로 답변이 있는지 조사하고

th:text="${#lists.size(question.answerList)}"로 답변 개수를 표시했다.

#list.size(이터러블객체)는 이터러블 객체의 사이즈를 반환하는 타임리프의 유틸리티이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14. 공통 템플릿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3. 1. 1. 01:04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 입니다.

 

 

 

 

오류 메시지 공통 템플릿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공통 템플릿을 작성하자

파일 경로 : /practice/src/main/resources/templates/form_errors.html

<div th:fragment="formErrorsFragment" class="alert alert-danger" 
    role="alert" th:if="${#fields.hasAnyErrors()}">
    <div th:each="err : ${#fields.allErrors()}" th:text="${err}" />
</div>

출력할 오류 메세지 부분에 th:fragment="formErrorsFragment" 속성을 추가했다

 

 

필요한 템플릿에 적용하기


question_form.html

<html layout:decorate="~{layout}">
<div layout:fragment="content" class="container">
    <h5 class="my-3 border-bottom pb-2">질문등록</h5>
    <form th:action="@{/question/create}" th:object="${questionForm}" method="post">
	<div th:replace="~{form_errors :: formErrorsFragment}"></div>    
        <div class="mb-3">
            <label for="subject" class="form-label">제목</label>
            <input type="text" th:field="*{subject}" class="form-control">
        </div>
        <div class="mb-3">
            <label for="content" class="form-label">내용</label>
            <textarea th:field="*{content}" class="form-control" rows="10"></textarea>
        </div>
        <input type="submit" value="저장하기" class="btn btn-primary my-2">
    </form>
</div>
</html>

타임리프의 th:replace 속성을 사용하면 공통 템플릿을 템플릿 내에 삽입할수 있다.

div 엘리먼트를 form_errors.html 파일의 th:fragment 속성명이 formErrorsFragment인 엘리먼트로 교체하라는 의미이다.

 

question_detail.html

<html layout:decorate="~{layout}">
<div layout:fragment="content" class="container my-3">
    (... 생략 ...)
    <!-- 답변 작성 -->
    <form th:action="@{|/answer/create/${question.id}|}" th:object="${answerForm}" method="post" class="my-3">
        <div th:replace="~{form_errors :: formErrorsFragment}"></div>
        <textarea th:field="*{content}" rows="10" class="form-control"></textarea>
        <input type="submit" value="답변등록" class="btn btn-primary my-2">
    </form>
</div>
</html>

마찬가지로 오류메세지 코드를 공통 템플릿으로 대체해주었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8. 질문 상세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2. 12. 31. 19:55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질문 상세 링크 추가하기


question_list.html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자

<table>
    <thead>
        <tr>
            <th>제목</th>
            <th>작성일시</th>
        </tr>
    </thead>
    <tbody>
        <tr th:each="question : ${questionList}">
       		<td>
			<a th:href="@{|question/detail/${question.id}" th:text="${question.subject}"></a>
        	</td>
        	<td th:text="${question.createDate}"></td>
        </tr>
    </tbody>
</table>

 

타임리프에서 링크의 주소는 th:href속성을 사용한다. URL 주소를 나타낼 때 반드시 @{URL}형식을 지켜야 한다.

문자열과 자바 객체의 값을 더할 때는 반드시 | | 기호로 좌우를 감싸주어야 한다.

타임리프는 문자열을 연결할 때    |    문자를 사용한다

 

 

질문 상세 구현하기


Question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QuestionService를 수정하자

(... 생략 ...)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com.example.board.DataNotFoundException;
(... 생략 ...)
public class QuestionService {

	(... 생략 ...)
    
	public Question getQuestion(Integer id) {
		Optional<Question> question = this.questionRepository.findById(id);
		if(question.isPresent()) {
			return question.get();
		}
		else {
			throw new DataNotFoundException("질문이 없음");
		}
	}	
}

id 값으로 Question 데이터를 조회하는 getQuestion 메서드를 추가했다.

리포지터리로 얻은 Question 객체는 Optional 객체이기 때문에 isPresent 메서드로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로직이 필요하다. 만약 id값에 해당하는 Question 데이터가 없을 경우 DataNotFoundException을 발생시키도록 했다.

 

 

DataNotFoundException 클래스를 생성하자

package com.example.board;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Status;

@ResponseStatus(value = HttpStatus.NOT_FOUND, reason = "entity not fonud")
public class DataNotFound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public DataNotFound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

DataNotFoundException은 RuntimeException을 상속하여 만들었다.

만약 DataNotFoundException이 발생하면 @ResponseStatus 애너테이션에 의해 404 오류(HttpStatus.NOT_FOUND)가 나타날 것이다.

 

 

질문 상세 페이지에 대한 URL 매핑을 QuestionController에 추가하자

또한 QuestionService의 getQuestion 메서드를 호출하여 Question 객체를 템플릿에 전달할 수 있도록 수정하자

(... 생략 ...)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 생략 ...)
public class QuestionController {
	
	(... 생략 ...)
    
	@GetMapping(value = "/question/detail/{id}")
	public String detail(Model model, @PathVariable("id") Integer id) {
		Question question = this.questionService.getQuestion(id);
		model.addAttribute("question", question);
		return "question/question_detail";
	}
	
}

 

 

이제 질문 상세 템플릿을 만들자

경로 : /practice/src/main/resources/templates/question/question_detail.html

<h1 th:text="${question.subject}"></h1>
<div th:text="${question.content}"></div>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화면에 잘 출력이 될 것이고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조회 할 경우 404 Not found 오류가 발생할 것이다

 

설정해 놓은 "질문이 없음" 메세지가 떳다

 

 

 

URL 프리픽스(prefix)


QuestionController의 URL 매핑을 살펴보면 모두 /question으로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클래스명 위에 @RequestMapping("/question") 애너테이션을 추가하고 메서드 위에서는 /question을 생략할 수 있다

(... 생략 ...)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 생략 ...)

@RequestMapping("/question")
@RequiredArgsConstructor
@Controller
public class QuestionController {
	
	private final QuestionService questionService;

	@GetMapping("/list")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
		(... 생략 ...)
	}
	
	@GetMapping(value = "/detail/{id}")
	public String detail(Model model, @PathVariable("id") Integer id) {
		(... 생략 ...)
	}
	
}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7. 서비스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2. 12. 31. 19:35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


여태까지 QuestionController에서 QuestionRepository를 직접 사용하여 질문 목록 데이터를 조회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규모있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는 컨트롤러에서 리포지터리를 직접 호출하지 않는다.

중간에 서비스(Service)를 두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서비스는 스프링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작성하는 클래스이다.

 

 

서비스는 왜 필요할까?

 

모듈화

예를들어 어떤 컨트롤러가 여러개의 리포지터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한후 가공하여 리턴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기능을 서비스로 만들어 두면 컨트롤러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서비스로 만들지 않고 컨트롤러에서 구현하려 한다면 해당 기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컨트롤러가 동일한 기능을 중복으로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는 모듈화를 위해서 필요하다.

 

보안

컨트롤러는 리포지터리 없이 서비스를 통해서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보안상 안전하다.

이렇게 하면 어떤 해커가 해킹을 통해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더라도 리포지터리에 직접 접근할 수는 없게 된다.

 

엔티티 객체와 DTO 객체의 변환

우리가 작성한 Question, Answer 클래스는 엔티티(Entity) 클래스이다. 엔티티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맞닿아 있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컨트롤러나 타임리프 같은 템플릿 엔진에 전달하여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컨트롤러나 타임리프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객체는 속성을 변경하여 비즈니스적인 요구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여 속성을 변경한다면 테이블 컬럼이 변경되어 엉망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엔티티 클래스는 컨트롤러에서 사용할수 없게끔 설계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엔티티 대신 사용할 DTO(Data Transfer Object) 클래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엔티티 객체를 DTO 객체로 변환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서비스는 컨트롤러와 리포지터리의 중간자적인 입장에서 엔티티 객체와 DTO 객체를 서로 변환하여 양방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Question Service


package com.example.board.ques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QuestionService {

	private final QuestionRepository questionRepository;
	
	public List<Question> getList(){
		return this.questionRepository.findAll();
	}
	
}

스프링의 서비스로 만들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클래스명 위에 @Service 애너테이션을 붙이면 된다.

@Controller, @Entity 등과 마찬가지로 스프링부트는 @Service 애너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서비스로 인식한다.

 

그리고 질문 목록을 조회하여 리턴하는 getList 메서드를 추가했다.

이전 컨트롤러에서 리포지터리를 사용했던 부분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그리고 QuestionController는 리포지터리 대신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 생략 ...)
public class QuestionService {

	private final QuestionRepository questionRepository;
	
	public List<Question> getList(){
		return this.questionRepository.findAll();
	}
	
}

앞으로 작성할 컨트롤러들도 리포지터리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구조로 데이터를 처리할 것이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6. 질문 목록과 템플릿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2. 12. 31. 19:18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데이터 조회하여 템플릿에 전달하기


질문 목록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Question 리포지터리를 사용해야 한다.

Question 리포지터리로 조회한 질문 목록은 Model 클래스를 사용하여 템플릿에 전달할수 있다.

 

package com.example.board.Ques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Controller
public class QuestionController {
	
	private final QuestionRepository questionRepository;

	@GetMapping("/question/list")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
		List<Question> questionList = this.questionRepository.findAll();
		model.addAttribute("questionList",questionList);
		return "/question/question_list"; // 리턴값으로 templates/question안의 템플릿을 불러온다
	}
	
}

@RequiredArgsConstructor 애너테이션으로 questionRepository 속성을 포함하는 생성자를 생성하였다. @RequiredArgsConstructor는 롬복이 제공하는 애너테이션으로 final이 붙은 속성을 포함하는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롬복의 @Getter, @Setter가 자동으로 Getter, Setter 메서드를 생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RequiredArgsConstructor는 자동으로 생성자를 생성한다.

따라서 스프링 의존성 주입 규칙에 의해 questionRepository 객체가 자동으로 주입된다.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방식 3가지
@Autowired 속성 : 애너테이션을 적용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생성자 : 생성자를 작성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권장)
Setter : Setter 메서드를 작성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메서드에 @Autowired 애너테이션 적용이 필요하다)

 

 

Question 리포지터의 findAll 메서드를 사용하여 질문 목록 데이터인 questionList를 생성하고

Model 객체에 "questionList" 라는 이름으로 값을 저장했다.

Model 객체는 자바 클래스와 템플릿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Model 객체에 값을 담아두면 템플릿에서 그 값을 사용할 수 있다.

Model 객체는 따로 생성할 필요없이 컨트롤러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지정하기만 하면 스프링부트가 자동으로 Model 객체를 생성한다.

 

 

템플릿에서 전달받은 데이터 사용하기


question_list.html 템플릿을 생성한다

경로 : /practice/src/main/resources/templates/question/question_list.html

<table>
    <thead>
        <tr>
            <th>제목</th>
            <th>작성일시</th>
        </tr>
    </thead>
    <tbody>
        <tr th:each="question : ${questionList}">
            <td th:text="${question.subject}"></td>
            <td th:text="${question.createDate}"></td>
        </tr>
    </tbody>
</table>

질문 목록을 HTML의 테이블 구조로 표시되게 하였다.

th: 로 시작하는 속성은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이 사용하는 속성이다. 바로 이 부분이 자바 코드와 연결된다. question_list.html 파일에 사용한 타임리프 속성들을 잠시 살펴보자.

<tr th:each="question : ${questionList}">

QuestionController의 list 메서드에서 조회한 질문 목록 데이터를 "questionList"라는 이름으로 Model 객체에 저장했다.

타임리프는 Model 객체에 저장된 값을 읽을 수 있으므로 템플릿에서 questionList를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의 코드는 <tr> ... </tr> 엘리먼트를 questionList의 갯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questionList에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 question 객체에 대입하여 반복구간 내에서 사용할수 있게 한다.

다음 코드는 바로 앞의 for 문에서 얻은 question 객체의 제목을 <td> 엘리먼트의 텍스트로 출력한다.

<td th:text="${question.subject}"></td>

다음 코드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td th:text="${question.createDate}"></td>

 

 

 

자주 사용되는 타임리프의 속성


 

타임리프의 자주 사용하는 속성에는 다음 3가지 유형이 있다.

 

1. 분기문 속성

th:if="${question != null}"

위의 경우 question 객체가 null 이 아닌 경우에 해당 엘리먼트가 표시된다.

 

 

2. 반복문 속성

반복문은 반복횟수만큼 해당 엘리먼트를 반복하여 표시한다. 반복문 속성은 자바의 for each 문과 유사하다.

th:each="question : ${questionList}"

반복문은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th:each="question, loop : ${questionList}"

추가한 loop 객체를 이용하여 루프 내에서 다음과 같은 속성을 사용할수 있다.

  • loop.index - 반복 순서, 0부터 1씩 증가
  • loop.count - 반복 순서, 1부터 1씩 증가
  • loop.size - 반복 객체의 요소 갯수 (예: questionList의 요소 갯수)
  • loop.first - 루프의 첫번째 순서인 경우 true
  • loop.last - 루프의 마지막 순서인 경우 true
  • loop.odd - 루프의 홀수번째 순서인 경우 true
  • loop.even - 루프의 짝수번째 순서인 경우 true
  • loop.current - 현재 대입된 객체 (예: 위의 경우 question과 동일)

 

3. 텍스트 속성

th:text=값 속성은 해당 엘리먼트의 텍스트로 "값"을 출력한다.

th:text="${question.subject}"

텍스트는 th:text 속성 대신에 다음처럼 대괄호를 사용하여 값을 직접 출력할수 있다.

<tr th:each="question : ${questionList}">
    <td>[[${question.subject}]]</td>
    <td>[[${question.createDate}]]</td>
</tr>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5. 리포지터리 - 점프 투 스프링부트(게시판 만들기)

Tech/Java & Spring 2022. 12. 31. 18:39
728x90
728x90
해당 게시글은 점프 투 스프링부트 교재를 통한 개인 학습 용도이며 기초 세팅은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8, 스프링부트 2.7.7버전입니다.

 

 

 

 

[  리포지터리  ]


엔티티만으로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 할 수 없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JPA 리포지터리가 필요하다.

 

리포지터리란?

엔티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접근하는 메서드들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테이블에 어떤 값을 넣거나 값을 조회하는 등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가 필요하다. 이 때 이러한 CRUD를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하는 계층이 바로 리포지터리이다.
package com.example.board.Ques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Question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Question, Integer> {

}
package com.example.board.Answ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Answ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Answer, Integer> {

}

리포지터리로 만들기 위해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했다.

JpaRepository를 상속할 때는 제네릭스 타입으로 <Question, Integer>  <Answer, Integer> 처럼 리포지터리의 대상이 되는 엔티티의 타입(Question)과 해당 엔티티의 PK의 속성 타입(Integer)을 지정해야 한다.

이것은 JpaRepository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이다.

 

이제 QuestionRepository, AnswerRepository를 이용하여 question, answer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해 ApplicationTests.java파일을 사용한다.

파일경로 : /practice/src/test/java/com/mysite/sbb/PracticeApplicationTests.java

package com.example.board;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com.example.board.question.Question;
import com.example.board.question.QuestionRepository;

@SpringBootTest
class PracticeApplicationTests {

    @Autowired
    private QuestionRepository questionRepository;

    @Test
    void testJpa() {        
        Question q1 = new Question();
        q1.setSubject("질문1");
        q1.setContent("답변1");
        q1.setCreateDate(LocalDateTime.now());
        this.questionRepository.save(q1);  

        Question q2 = new Question();
        q2.setSubject("질문2");
        q2.setContent("답변2");
        q2.setCreateDate(LocalDateTime.now());
        this.questionRepository.save(q2); 
    }
}

파일을 작성 한 뒤 Run → Run As → JUnit Test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반드시 서버가 꺼진 상태에서 실행하여야 한다.

 

 

정상 실행되었다.

 

 

데이터베이스에 값이 잘 들어갔나 확인해 보기 위해 로컬서버를 시작하고 H2 콘솔에 접속하여 다음 쿼리문을 실행해 보자.

 

 

잘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300x250
mag1c

mag1c

2년차 주니어 개발자.

방명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