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fatal: detected dubious ownership in repository a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7qQy%2FbtstkpqCo1S%2FW7aVD32ekf4DDDEgEFtTd1%2Fimg.png)
에러 메세지 단순 status를 찍으려는 데도 뭔가 문제가 생겼다. 안전한 폴더로 지정을 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미 해결법은 에러의 마지막줄에 나와있다.. 해결 git config --global --add safe.directory projectPath

명령어 정리 npx npm 5.2.0버전부터 제공되는 명령어로 npx를 사용하면 install 없이 일회성으로 패키지를 실행하거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1. npm init - package.json 생성 2. npm install / npm i - npm 모듈을 로컬(현재 프로젝트 내부)에 설치 - 옵션으로 --save / -S, --save-dev / -D를 사용 가능 - --save / -S는 dependency에 추가하는 명령어인데 npm 5버전 이후로는 자동으로 dependency에 추가됨 - --save-dev / -D는 devDependencies에 추가.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하는 모듈 3. npm uninstall moduleName - 설치한 모듈 삭제 4. npm dedupe - 중..
![[TypeScript] console을 인식하지 못할 때 / cannot find name 'console'. Do you need to change your target library?](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hvaK%2Fbtstg1vKifU%2FdSVBhBNveshbAyD7kFKZ60%2Fimg.png)
에러 메세지 cannot find name 'console'. Do you need to change your target library? Try changing the 'lib' compiler option to include 'dom'. 에러 원인 @types/node가 설치되지 않음 해결 아래 명령어를 통해 @types/node 설치 npm install @types/node --save-dev 이후에 실행해보면 잘 작동한다
![[TypeScript] tsc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 PSSecurity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UnauthorizedAcces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CPinx%2Fbtss706CdaD%2Fge8skuqkhDhQIFf0BAMgXk%2Fimg.png)
에러 메세지 tsc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C:\Users\diehr\AppData\Roaming\npm\tsc.ps1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타입스크립트 첫 사용을 위해 설치를 마치고 tsc -v를 통해 버전 확인을 하려다 발생 해결방법 VS Cod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terminal에 아래의 명령어 입력. $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기본 ExecutionPolicy를 Restricted에서 RemoteSigned로 변경 Restricted : 기본 실행 정책으로 명령어를 하나씩 실행 가능하며 스크립트 파일을 로드하여 실행할 수 없음 RemoteSigned : 로컬에서 본인이 생성한 스크립트만 실행 가능하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AWS] lightsail, Outline VPN을 이용한 VPN 서버 구축 (해외에서 한국 VPN 이용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mad4%2FbtsscDxE2du%2FenZEOeuIiYdCk3rJG5z801%2Fimg.png)
서론 지난주 내내 태국에 있으면서, 태국 내 와이파이를 사용해 짬짬이 공부하거나 작업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었는데 필자는 메이플스토리를 하는데 외국 접속을 차단시켜놓고 출국한 바람에 일일 숙제를 하지 못해서 곤란했다.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Express나 Node VPN같은 것을 사용해볼까 생각을 했지만 하루에 10분정도 사용하기 위해 유료 VPN을 사용하는 것이 아까웠다. 무료VPN을 사용할까 했지만 보안이나 기타 문제들이 생길 것 같아서 이래저래 찾아보다가 AWS를 통해 나만의 VPN 서버 구축을 할 수 있다는 소리를 듣고 10분??정도 걸려서 뚝딱 구축해서 사용했다. 두줄평 구축 난이도 : 하 속도 : 상 (핑이 높아서 반응이 0.5초정도 느리지만 사용에 지장이 있거나 렉이 걸린다거나 하지 않았음) ..
![[QueryDSL] annotationProcessorGeneratedSourcesDirectory deprecated](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qcfd%2FbtssbAgMoFq%2FMCnbXFXSZiD6uI9NY3pTC1%2Fimg.png)
스프링부트를 활용해 토이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느날 갑자기 잘 되던 QueryDSL의 QDomain 경로 지정이 되지 않아서 테스트가 통과되지 않았다. 찾다찾다 build 설정에서 deprecated된 코드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컴파일 과정에서 JavaCompile유형의 작업의 속성을 변경해주는 코드로 설정한 querydslDir 변수의 경로에 파일을 생성하는 코드이다. 공식 Gradle 문서에 따르면 위의 annotationProcessorGeneratedSourcesDirectory는 generatedSourceOutputDirectory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https://docs.gradle.org/current/dsl/org.gradle.api.tasks.compile.Compil..
![[SpringBoot / Controller(Presentation Layer) Test] Argument(s) are different: Wanted: Actual invocations have different arguments: 해결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JH62H%2Fbtsrytbs2zN%2Fkotaek7kKujAtOiVETPk7k%2Fimg.png)
에러 메세지 컨트롤러에서 회원 가입 기능의 통합 테스트 작성 중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원인 메세지 확인 결과. Member 객체의 주소값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pected com.example.lolchampionsinvestment.domain.member.service.MemberService#0 bean.signUp( com.example.lolchampionsinvestment.domain.member.domain.Member@da34f809 ); //Actual com.example.lolchampionsinvestment.domain.member.service.MemberService#0 bean.signUp( com.example.lolchampionsinvestm..

서론최근 토이 프로젝트 진행중에 간단하게 회원기능을 구현하고자 Security를 사용하는데 이전 사용했던 WebSecurityConfigurerAdapter을 상속받아 구현하던 Config설정에 바뀐 부분이 있고 또한 시큐리티를 통한 권한 확인이나 로그인, 로그아웃 등 기타 작업등은 하지 않을 계획이라 csrf(), cors() disable을 설정하는 과정에서도 Deprecated된 것을 확인하여 기록하고자 함 아래는 각각 WebSecurityConfigurerAdapter와, Spring Security 6.1.2버전에서의 Deprecated API를 정리해둔 공식 docs https://spring.io/blog/2022/02/21/spring-security-without-the-websecuri..